서울대병원, 인식조사 통해 건강과의 관계 조사…연명의료에 관한 환자생각 존중 분위기 만들어야

여전히 죽음이라는 단어가 사회적으로 금기시되고 있지만 바람직한 죽음을 논하는 웰다잉(Well-Dying)이 주목받는 시점에서 국내 의료진으로부터 의미 있는 연구결과가 도출됐다.

서울대병원 암통합케어센터 윤영호 교수

서울대학교병원 암통합케어센터 윤영호 교수팀은 최근 ‘우리는 죽음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죽음에 대한 태도는 건강과도 관련이 있을까’를 주제로 인식 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조사는 2016년 국내 암환자(1001명)와 가족(1006명), 의사(982명), 일반인(1241명)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연구팀은 △죽음과 함께 삶은 끝이다 △죽음은 고통스럽고 두렵다 △사후세계가 있다 △관용을 베풀며 남은 삶을 살아야 한다 △죽음은 고통이 아닌 삶의 완성으로 기억돼야 한다 등을 물었다.

조사 결과 암환자·가족·일반인(A군)과 의사(B군) 다수는 죽음과 함께 삶이 끝난다(A군 75.2%, B군 63.4%)고 답했다.

아울러 ‘죽음은 고통스럽고 두렵다’에 대해서는 A군의 경우 58.3%, B군의 경우 45.6%가 그렇다고 답했는데 의사집단인 B군이 A군에 비해 죽음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것.

이는 의사들은 죽음을 자주 목격하기 때문에 그 현상을 보다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것으로 판단된다는 연구진의 설명이다.

또한 ‘사후세계가 있다’에 대한 답변은 A군은 54.6%, B군은 47.6%가 그렇다고 말했으며 특히 ‘관용을 베풀며 남은 삶을 살아야 한다(A군 89.8%, B군 93%)’와 ‘죽음은 고통이 아닌 삶의 완성으로 기억돼야 한다(A군 90%, B군 94.1%)’에 대해서는 양쪽 모두 그렇다는 응답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죽음에 대한 태도는 대상자의 건강상태와도 연관성을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 ‘죽음은 삶의 끝이고, 죽음은 고통스럽고 두렵다’고 말한 응답자는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정신·사회·영적 건강상태가 1.2~1.4배 좋지 못했으며 반대로 ‘사후세계를 믿고, 관용을 베푸는 삶, 죽음을 삶의 완성’으로 보는데 동의한 응답자는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정신·사회·영적 건강상태가 1.3~1.5배 좋았다.

즉, 죽음을 긍정적으로 보는 태도는 건강한 삶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는 것.

해당 연구는 죽음을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대한 통찰력과 교육 방향을 제시하고 죽음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키우기 위해서 환자의 돌봄이 의료 측면뿐만 아니라 비의료 부분으로 확대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는 연구진의 강조다.

윤영호 교수는 “의료진과 사회의 적절한 개입을 통해 환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바꿔야 한다”며 “이제는 우리사회도 죽음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 해야한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이어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이 지정한 ‘호스피스의 날’을 기념해 삶과 죽음에 대한 의미를 널리 알리고 범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며 “호스피스를 적극 이용하고 연명의료에 관한 환자의 생각을 존중하는 사회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세계 건강과학’(Global Journal of Health Science) 10월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