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병원 대비 임금 수준 60% ‘허위’ 지난해 합의도 왜곡”…‘평행선’ 인상률 두고 노조 정면 반박

7.7% VS 17.7%

이승진 을지대학교 을지병원장

을지재단 산하 대전 을지대병원과 서울 을지병원에서 사측과 노조에 최종교섭을 실패하게 만든 핵심 쟁점사안인 ‘임금인상률’의 숫자다. 곧바로 지난 10일 오전 7시에 시작된 무기한 전면파업은 여전히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장기화가 될지 모른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는 모습이다.

현 상황을 반전시키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는 이승진 을지병원장은 12일 서울 모처에서 기자들과 만나 “평행선을 달리며 여기까지 오게 된 것에 대해 안타깝고 여전히 강 대 강으로 이뤄지고 있는 점도 아쉽다”며 “칼자루는 우리가 가지고 있을지 모르지만 모두 동료 아닌가, 옳다 그르다가 아닌 입장차이라고 생각하며 조속히 해결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상적으로 바라봐야 하는 부분도 있지만 현실을 직시해야 하는 것도 분명히 있고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할 부분이 있다고 지적했다. 바로 임금 수준에 대한 팩트다.

타 사립대병원 임금 대비 60%는 허위 주장

구체적으로 을지병원이 2016년 결산 공시 자료 중 직원 1,000명 이상의 전국 31개 종합병원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문의 급여를 제외한 평균 직원 급여는 4,646만원이었다. 이에 반해 을지병원은 3,590만원(평균 대비 77.28), 을지대병원은 3,718만원(평균 대비 80.03%) 수준으로 나타났다.

의료수익으로 볼 때는 31개 병원 평균 의료수익은 2,753억원으로 을지병원은 1,255억원(평균 대비 45.61%), 을지대병원은 1973억원(평균 대비 71.65%)에 그쳤다.

이승진 원장은 “다른 자식 용돈과 비교할 때 부모 입장에서도 불편할 것이다. 왜 더 안주고 싶겠는가”라며 “성적표를 공개하는 것처럼 부끄럽지만 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안을 거부한 노조의 주장처럼 60% 수준에 그친다는 것은 납득할 수 없고 어디서 나온 자료인지도 알 수 없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노조와의 협상을 통해 양측 대표가 직접 서명하며 합의한 임금협약서 내용을 스캔한 것이다.

더 나아가 오히려 노조가 허위 사실을 유포하고 있다는 주장도 전했다. 지난 2016년 임금 및 단체협상 결과 양측은 총액 임금대비 8.33%의 임금 상승을 합의했지만 보도자료 등을 통해 3.2%에 그쳤다는 잘못된 내용으로 노사간 갈등을 선동하고 있다는 것.

이 원장은 “왜 입맛에 맞춰 데이터를 만드는가? 접근할 수 없는 수치를 제시하며 병원이 협상에 불성실하다고 지적하는 동시에 임금 정보를 축소하며 왜곡하고 있다”며 “공개사과를 촉구하며 재발방지 등 불이행 시 법적 대응도 고려하고 있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노조 설득 위한 카드? “신뢰와 앞으로 로드맵이 핵심”

그렇지만 간담회 내내 빠른 병원의 정상화를 바란다는 뜻을 거듭 밝힌 이 원장은 결국 노조원들에 신뢰를 얻어야 하지 않겠냐는 것에 공감했다.

그는 “일종의 로드맵으로 2020년을 목표로 노사 양측 동수로 임금개선위원회를 만들자는 의견을 전한바 있다”며 “공동으로 비교 대상 병원을 선정해 합리적으로 인상폭을 제시하자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조정도 있고 연수도 늘릴 수 있겠지만 신뢰를 가지고 갈수 있도록 틀을 만들자는 것”이라고 답했다.

또한 “쉽지는 않겠지만 여건이 좋아져야 하는 것은 맞다. 하지만 각종 수당 등 단기간에 해소할 수 있는 부분도 분명히 있다”며 “시류와 시세를 못 읽어 거슬러 가자는 것도 아니다. 향후 개선될 것들에 대해 같은 방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고 속도조절을 해줬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의정부을지병원 새 건립 등 지속적인 투자가 이어지고 있는 것에 비해 직원들에 처운 개선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크다는 지적에 대해서 조심스럽지만 경영의 입장에서 이해해주길 바란다고 답했다.

이승진 원장은 “지속적 투자가 없으면 결코 살아남을 수 없는 시대”라며 “냉정하게 중증도도 부족한 상황에서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개선을 향한 다양한 시도들을 할 수 밖에 없다. 버는 것을 다른 부분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 아니지 않은가”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제 와서 설립을 중단할 수는 없다. 판단은 내려졌고 결국 결과가 이야기해줄 것”이라며 “10년 후를 생각하는 사람과 당장 지금의 처우를 생각하는 입장은 다를 수밖에 없다. 정답은 없고 바라보는 방향이 다를 뿐이지만 미래지향적으로 가야한다는 것은 인정해줬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