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협, 보다 강력한 리베이트 대책마련 착수

자율적·선제적 대응이 타율적·재앙적 제재 막아

제약바이오협회가 리베이트에 대한 보다 강력한 대응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최근 이사장단회의에서 CP인증과 별개로 ISO-37001(국제표준화기구 반부패경영시스템) 도입을 추진키로 하는 한편 CSO(판매대행사)에 대한 복지부 실태조사 건의 등을 고심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의약품 리베이트 문제가 심상치 않음을 반증한다는 풀이이다. 실제 사정당국의 거친 수사와 국민여론의 냉정한 시각, 여기에 더욱 촘촘해진 제도까지 시시각각 숨통을 조여오고 있는 모양세 이다. 더 이상 방치됐다가는 제약계나 의료계 모두 혹독한 댓가를 치를 수 있는 만큼 대응을 서두르되 과거와 다른 특단의 조치가 요구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제약-의료계, 리베이트 인한 거대한 파도와 직면

국내 제약기업의 상징적 기업 오너의 구속에 여전히 이어지는 리베이트와 관련한 흉흉한 보도는 간담을 서늘케 한다. 새 정부는 의약품 리베이트를 보건의료계의 뿌리 뽑아야 할 적폐로 규정하고 몰아붙이고 있으며 검·경 등 단속기관은 앞 다투어 실적 쌓기에 열을 올리고 있는 지경이다. 이것이 끝이 아니다. 국회 국정감사가 시작되면 복지 분야 중요 현안중 하나로 리베이트 문제가 다뤄질 것이 뻔하고, 국민여론에 비쳐질 제약기업의 이미지는 어떨 것인지는 상상이 어렵지 않다. 내년 1월부터는 제약기업의 의료기관에 대한 경제적이익지출보고서 제출이 의무화 된다. 아직 구체적 실행방안이 나온 것은 아니지만 엄청난 파급력을 가질 것이란 분석이다. 그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 정당한 지출 인지 그렇지 않은지, 기록이 없는 지원이 드러날 경우는 어떻게 될지, 결국은 다 공개하게 되는 것은 아닌 지 등 하나하나가 폭발력 있는 이슈로 부각될 전망이다.

제약-정부 산업지원 차질, 의료-방치하다 후회 우려

정부는 제약산업을 지원해야 할 핵심산업으로 규정하고 있음이 분명하다. 대통령이 함깨 한 자리에서 제약산업을 육성해야 할 신산업으로 꼽고, 적극 지원 의지를 공개 천명했다. 연간 수조~수십조의 매출을 올릴 수 있는 글로벌 신약하나면 수천~수만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제약산업이 리베이트의 부도덕한 산업으로 낙인 찍히고, 국민들로부터 외면 받는 다면 정부 지원의지가 여전히 계속된다는 보장이 없다. 오히려 지원은 거두고 규제는 늘리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을 배재키 어렵다는 분석이다.

의료계도 지금과는 다른 환경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 물론 지금도 리베이트로 인한 상처가 적지는 않다. 그러나 향후 제약기업의 경제적 이익제공이 보고되고, 공개되는 상황에 이른다면 의료계가 감당할 범위를 뛰어 넘을 가능성이 충분히 존재한다는 분석이다. 지금 무언가 하지 않으면 너무 늦은 후회를 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R&D 생태계 살리고, 리베이트 생태계 죽이는 사생결단 자세 필요

최근 제약계나 의료계가 리베이트에 무감각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있어왔다. 할 만큼 했는데 여전히 곳곳에서 들려오는 리베이트 문제에 지치고, 힘 빠져 체념한 것 아니냐는 것이었다. 실제 제약바이오협회를 중심으로 윤리강령, 윤리헌장 마련에 자율점검지표 마련, 심지어 업계내 일부 반발 여론에도 이사회를 통한 리베이트 설문조사 등 최선을 다했다고 항변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은 여전히 독버섯처럼 리베이트는 번성하고 있고, 이는 리베이트 척결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를 반증하고 있다는 풀이이다.

이런 상황에서 제약바이오협회가 심기일전해 리베이트 대응에 나선 것은 당연하고도 필요한 일이라는 평가이다. 특히 한 차원 높은 윤리경영 실현을 위한 제도 도입 및 CSO·공동생동 문제 등 다소 민감한 부분까지도 논의의 대상으로 올린 것은 평가받을만 하다는 것이다. 리베이트를 죽여야 기업과 산업이 산다는 사생결단의 자세가 필요하다는 지적으로 제약계 자체 노력은 물론 의료계와 위기에 대한 공감대 아래 최대한 공조하며 리베이트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는 주문이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