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比 기준 4.1%…연 평균 2.8% 성장   

지난해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약 73조3000억원으로 전년(2015년) 대비 4.1%, 2012년 이후 연 평균 2.8%로 지속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이 같은 '2016년도 식품산업 생산실적' 자료를 분석, 25일 밝혔다. '식품산업'은 식품제조·가공업, 식품첨가물제조업, 식품용기·포장제조업 등(식품 일반), 식육가공업, 식육포장처리업, 유가공업 등(축산물) 및 건강기능식품제조업 등(건강기능식품) 등 포괄을 포괄한다.

작년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국내 제조업 총생산(GDP) 대비 16.9%, 국내 총생산(GDP) 대비 4.5%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6년 식품산업 생산실적 분석 결과'의 주요 내용은 △업종별 생산실적, 식품제조·가공업이 55.3% △식품유형별 생산실적, 돼지고기 포장육이 1위 △건강기능식품 중 생산실적 성장률 최고, 홍삼제품 △생산실적 1조원 이상 식품제조업체 5개사 △10인 이하 식품산업 제조업체수 79% 차지 등이다.

◇ 업종별 생산실적, 식품제조·가공업이 55.3% = 2016년 업종별 생산실적은 식품제조·가공업이 40조5549억원(55.3%)으로 가장 많았고, 식육포장처리업(12조8733억원, 17.6%), 유가공업(6조241억원, 8.2%), 용기·포장지제조업(5조9806억원, 8.2%, 옹기류 포함), 식육가공업(4조7905억원, 6.5%), 건강기능식품제조업(1조4715억원, 2.0%), 식품첨가물제조업(1조2982억원, 1.8%) 순이었다.

전년에 비해 식품제조·가공업, 건강기능식품제조업, 식육가공업, 식육포장처리업은 각각 3.4%, 29.9%, 12.1%, 6.9% 증가한 반면, 유가공업과 알가공업은 각각 1.7%, 4.3% 감소했다.

건강기능식품제조업 생산실적 증가는 2015년 백수오 제품에 이엽우피소가 혼입된 사건의 영향으로 증가세가 둔화됐던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2016년에는 점차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지난해 조류인플루엔자(AI) 및 구제역 등에 따른 여파로 원료 가격이 상승한데다 계란 품귀현상으로 인해 유가공업과 알가공업은 2015년 대비 성장률 감소를 나타냈다.

◇ 식품유형별 생산실적, 돼지고기 포장육이 1위 = 2016년 생산실적이 1조원 이상인 식품유형은 돼지고기 포장육, 쇠고기 포장육, 양념육, 우유 등 모두 14종으로 파악됐다. 식품유형별 생산실적은 2015년과 동일하게 돼지고기 포장육(5조9693억원)이 1위를 차지했고 쇠고기 포장육(4조6337억원), 닭고기 포장육(1조9148억원), 양념육(1조5211억원), 우유(1조4130억원) 순이었다.

이어 기타가공품(1조3607억원), 소스류(조미식품, 1조3558억원), 탄산음료(1조2778억원), 유탕면류(봉지라면, 1조2034억원), 소주(1조1787억원)가 10위안에 들었다. 특히, 1인 가구, 맞벌이 가족 증가 등으로 간편식 관련 품목의 생산이 전년대비 증가하고, 저출산의 영향으로 분유·조제유류 등 유가공품의 생산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건강기능식품 중 생산실적 성장률 최고, 홍삼제품 = 건강기능식품의 생산실적은 1조4715억원으로 2015년(1조1332억원)에 비해 29.9%로 대폭 증가했으며 2012년 이후 연평균 8.7% 성장하고 있다. 품목별로는 홍삼, 개별인정형, 비타민 및 무기질, 프로바이오틱스, 밀크씨슬 추출물 순으로 많이 생산됐으며, 이 중 홍삼제품이 전체의 39.7%를 점유하고 있어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등 우리 국민들은 건강기능식품으로 홍삼제품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등 생산실적은 총 47조8336억원으로 2015년(46조5038억원)에 비해 2.9% 증가했으며, 2012년 이후 연평균 2.4%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식품군별로는 기타 식품류(5조6244억원), 규격외 일반가공식품(4조3880억원), 음료류(3조6276억원), 주류(3조2935억원), 빵 또는 떡류(3조1321억원), 조미식품(3조326억원) 순이었다.

이어 과자류(2조9578억원), 면류(2조5101억원), 커피(1조6498억원), 식용유지류(1조6180억원), 코코아가공품 또는 초콜릿류(1조907억원), 김치류(1조334억원) 등이 1조원 이상 생산된 식품군으로 확인됐다.

2015년에 비해 소스·복합조미식품, 탄산음료, 과채음료·쥬스 및 커피 생산이 증가했는데, 이는 조리문화의 다변화, 피자·치킨·족발 등 배달식품의 증가, 과일쥬스·커피 인기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작년 축산물가공품 생산실적은 24조79억원으로 전년(22조7748억원) 대비 5.4% 증가해 최근 5개년 연평균은 3.4% 성장하고 있다. 돼지고기·소고기·닭고기 포장육 생산이 전년대비 각각 12.3%, 4.7%, 2.7%씩 증가했으며, 간편하게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양념육류도 11.2% 증가했다. 이는 식생활의 서구화, 외식·캠핑문화 등의 정착으로 국민들의 육류소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 생산실적 1조원 이상 식품제조업체 5개사 = 생산실적이 1조원 이상인 업체는 식품제조·가공업체 4곳과 축산물가공업체(유가공업체) 1곳을 포함한 총 5곳으로 이들이 2016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 73조3000여억원 중 9.8%를 차지했다.

작년 제조업체별 생산실적은 2015년 2위였던 롯데칠성음료(1조8352억원)와 1위였던 농심(1조5665억원)이 자리를 바꿨고, CJ제일제당(1조5529억원), 하이트진로(1조1265억원), 서울우유협동조합(1조1180억원, 축산물가공업) 순이었으며, 2015년 7개사보다 2개사(오리온, 롯데제과)가 감소했다.

식품첨가물 제조업체 생산실적은 전년에 이어 한화케미칼 1724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고, 대상(1230억원), 백광산업(586억원), 엠에스씨(481억원), 엘지화학브이시엠(421억원)의 순이었다. 이들 상위 5개 업체의 비중은 식품첨가물 시장의 34.2%를 차지했으며, 상위 5개사 점유율은 매년 감소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제조업체는 한국인삼공사(3770억원)가 2004년부터 2016년까지 계속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콜마비앤에이치(1027억원), 노바렉스(722억원), 서흥(608억원), 한국야쿠르트(592억원) 등으로 상위 10개 업체의 비중이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의 60.6%를 차지해 집중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좌정호 식약처 식품안전표시인증과장은 "식품·식품첨가물, 축산물 및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 자료를 국민과 관련 산업체, 연구기관, 관련 부처 등에 제공함으로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며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mfds.go.kr→통계→통계간행물→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 또는 통계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