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진료비 청구 '코드'…활용성 낮아 장기 로드맵 필요

4차 산업혁명에 발맞춰 의료정보 빅데이터 활용을 위해서는 정보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표준데이터 구축이 우선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2017년 제2차 미래보건의료포럼 전경

한국보건의료연구원(원장 이영성)은 28일 국회도서관 강당에서 ‘2017년 제2차 미래보건의료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백롱민 분당서울대병원 교수는 기조연설을 통해 “오래전부터 언급되던 의료정보가 왜 지금인가라는 의문은 기술적 진보와 환자가 의료 정보에 참여하는 문화변화로 설명된다”며 “현재 의료가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드는 적기가 된 것이라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백롱민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백 교수는 이어 “하지만 우리나라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관련정책이 선진국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라며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인식제고를 위한 소통강화 정책과 제도적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의료패러다임 변화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범정부적인 장기 전략이 필요하다는 백 교수의 의견이다.

이어진 발표에서는 의료정보 빅데이터를 구체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이 제시됐다.

김일곤 경북대 교수는 “현재 많은 의료 데이터들이 심평원이 정의한 청구를 위한 코드로 이루어져 있다”며 “이것은 보험급여를 주기위한 데이터기 때문에 아무리 많은 데이터를 모아도 저장성의 가치가 떨어진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 것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 가장 우선돼야 하는 부분”이라며 “정부와 의료기관, 연구소 등 수요자 중심으로 한국형 표준데이터를 만드는 것이 아닌 글로벌 표준에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환자 중심으로 실제 활용 가능 부분부터 시작

정승현 국립암센터 교수

또한 국립암센터 정승현 교수는 현재 의료정보의 수에 비해 실제로 사용가능한 정보가 일부분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현재 각 기관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코어 데이터를 만들지만 실제 퍼져있는 의료 빅데이터에 비해 실제 활용가능 데이터는 전체의 10% 미만이다”며 “하나의 가설을 입증하기 위한 데이터를 모으는 과정에서 엄청난 시간과 돈이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이는 현재 데이터들이 대부분 사건위주가 아닌 시간과 청구 위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데이터를 연관성을 가지고 연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가진다는 것.

정 교수는 “방대한 의료데이터를 환자 중심으로 실제 활용 가능한 부분을 표준화 할 필요가 있다”며 “정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표준화 할 항목에 대해 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