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세브란스·서울대 공동 연구팀, 핵수용체 ‘RORα’ 새 신호 전달 경로 확인

핵수용체 RORα가 지방세포 형성 및 분화를 촉진하는 핵수용체 PPARγ의 신호 전달 체계를 간 내에서 제어해 비만 및 비 알코올성 지방간 생성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의생명과학부 황성순 교수와 서울대 생명과학부 백성희 교수 연구팀은 지방간 생성을 억제하는 핵수용체 RORα의 기전을 밝힌 연구 결과를 31일 발표했다.

참고로 핵수용체는 세포내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 등과 결합 후 DNA에 직접 결합해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을 뜻한다.

간특이적 RORa 결손조직 지방조직

연구팀은 간에 RORα 결핍이 있는 쥐와 정상쥐에게 일반식과 고지방식을 섭취시켰다. 그 결과 일반식을 섭취한 경우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고지방식을 섭취한 경우 RORα가 결핍된 쥐에서 심각한 비만과 지방간이 유발됐다.

분자생물학적 실험결과, 고지방식에 의해 비만이 일어날 경우 간에서 PPARγ 신호가 과도하게 활성화돼 지방축적이 활발해지는데 이때 간에 있는 RORα가 PPARγ의 과도한 신호체계 증가를 제어해 지방간 유발을 억제하는 것이 확인됐다.

또 연구팀이 PPARγ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약물인 GW9662를 고지방식과 같이 투약한 결과, 간 특이적 RORα 결핍 쥐에서도 비만과 지방간이 의미 있게 감소하는 것을 나타났다. 즉 RORα가 PPARγ의 활성화를 억제해 비만과 지방간을 억제하는 기전을 다시 한 번 확인한 것.

황성순 교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및 비만 억제의 새로운 신호 전달 경로 발견으로 향후 관련 질환의 치료제 개발 및 치료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논문은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IF 12.12) 온라인판에 7월 31일 게재됐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