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 토론회서 전문가들 '적극적인 투자' 힌목소리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해 보건산업 분야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인프라 확보와 제도개선이 뒤따라야 한다는 업계 관계자들의 공통된 목소리가 나왔다.

이 같은 주장은 지난 25일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실에서 개최된 ‘2017 보건산업 일자리 토론회’에서 확인됐다.

2017년 보건산업 일자리 토론회 전경

이날 토론회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보건산업의 역할과 과제’라는 주제로 각 계의 다양한 전문가들이 제도개선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우선 이상헌 연구중심병원협의회 회장은 “바이오 일자리를 창출하려면 결국 좋은 기업들이 창업돼야 한다”며 “연구중심병원은 그런 점에 있어서 좀 더 창업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상헌 연구중심병원협의회 회장

이 회장은 “하지만 현재 창업을 통한 수익이 병원으로 들어가고 병원에서 다시 연구에 재투자 하는 구조가 법적으로 미비하다"며 "이런 부분에 대한 해결책을 정부에서 마련한다면 연구에 매진이 가능한 환경이 만들어 질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석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본부장은 데이터인프라구축, 창업생태계 형성, 진입규제 완화 등이 보건일자리 확장을 위한 핵심임을 역설했다.

김 본부장은 “보건 산업이라고 해서 병원 안에 새롭게 만들기보다는 병원 외적으로 다른 것들이 무엇인지 생각한 후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우리나라는 산업생태계적으로 이런 부분이 뒷받침 되지 않기 때문에 창업 환경 조성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박구선 오송첨단복지 본부장은 R&D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강조했다.

박 본부장은 “현재 복지부가 R&D에 투자하는 정도는 미국의 한 개 기업이 투자하는 것보다 적기 때문에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부정적”이라며 “보건의료정책에 R&D에 대한 정확한 가이드라인 제시와 안정적 투자가 이뤄져야 된다”고 언급했다.

또한 일자리 창출뿐만 아니라 인력확보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백룡민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

백룡민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는 “정부가 5년 안에 20만 명의 일자리를 만든다는데 우리가 이 속도에 맞춰 인재를 공급 할 수 있는지를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즉, 보건의료분야에서 일자리가 창출되더라도 제 때 전문 인력이 공급되지 않는다면 일자리 창출의 의미가 없다는 것.

이와 관련 백 교수는 “인력 확보에 있어 학교 교육과 재교육을 어떻게 할지에 대한 고민뿐만 아니라 융합교육 이후 바로 실무적으로 인재들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복합적인 고민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 토론회에서는 스타트업 기업이 보다 쉽게 창업할 수 있도록 법적 제제들을 완화시키야 한다는 주장과 중소기업이 일류기업과 경쟁 시 살아남을 수 있는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