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한류 약해 현지 고객 요구 맞춘 현지화 제품 주목해야

지난 3년간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던 인도네시아 화장품 시장 규모는 경기회복과 더불어 2016년에 10%대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이전 시장 규모를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분위기 또한 과거 글로벌 시장 트렌드를 무조건적으로 수용하는 자세에서 벗어나 소비자의 특성에 맞는 화장품을 선호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7 글로벌코스메틱포커스 6호 표지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김덕중)은 10일 '글로벌코스메틱포커스 6호(인도네시아편)'를 펴내고인도네시아 화장품시장 동향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인도네시아 유명 뷰티매거진 DEWI의 뷰티에디터인 멜리타(Melita Andini Paramita)는 "최근 현지 경기가 서서히 살아나면서 시장이 다시 활기를 띄기 시작했다"며 "시장의 트렌드로는 글로우(Glow), 내추럴(Natural) 메이크업을 꼽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베이스메이크업에 관심이 적었던 인도네시아 여성들이 매끄러우면서도 건강하게 빛나는 피부를 선호하기 시작하는데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구매성향 또한 기존의 글로벌 트렌드와 미백에 대한 동경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맞는 자연스러운 피부톤의 표현을 위해 어두운 컬러의 제품을 찾는 등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인도네시아의 주요 온라인 유통채널(LAZADA, BLANJA, Qoo 10 등)을 분석한 결과 인기 제품은 대부분 1만원 이하의 저가제품이 꼽혀 온라인 시장에서는 낮은 구매력의 소비자층이 주요 타깃으로 분석됐다. 로컬 브랜드로는 WARDAH가 전 사이트에서 고른 인기 분포를 보였으며 스킨케어 제품은 미백 기능성이, 메이크업 제품 중에서는 자연스러운 컬러의 립틴트 등이 눈에 띄었다.

연구원 관계자는 인도네시아 시장에 대해 "이전까지는 경기침체, 낮은 구매력, 소비자 성향, 작은 시장, 까다로운 수출과정 등으로 인해 잠재성에 비해 주목받지 못했다"며 "인구 규모, 천연 자원, 외국인 투자, 정부 산업정책 등에 따라 향후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고 평가했다.

우리나라 기업 진출 전략에 대해서는 "국가별로 구매력과 구매층이 상이해 브랜드 전개 시 가격, 컨셉, 판매 채널 등에 따라 타깃 소비자 집단을 명확히 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인도네시아에서는 최근 로컬 브랜드가 저가 시장을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기 시작해 장기적으로는 중저가 이상 시장에서 프리미엄을 부여하는 홍보 전략을 전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Cosmetics Leader 섹션에서는 자체 R&D를 통한 기술력 확보로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한 엔코스를 소개했다. 해외영업팀의 강민아 사원은 "인도네시아는 제품 사전 등록과정과 수출관련 서류 제출에 있어서 다른 동남아 국가에 비해 까다로운 편이며 기간 또한 6개월 정도 소요돼 수출시 현지 에이전시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