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천의 한 어린이집에서 장난감을 삼킨 어린이가 적절한 조치를 받지 못해 사망한 사건을 두고 무수히 많은 이야기들이 쏟아지고 있다.

지난해 사회적으로 큰 충격을 준 ‘전주 소아환자 교통사고 사망사건’이후 아무것도 바뀌지 않았다는 날선 비판과 함께 '처음 내과 의원으로 아이를 업고 뛴 원장이 잘못했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구급대가 환자파악을 제대로 못했다, 최초 전원이 시도된 대학병원의 진료거부가 문제다' 등의 책임공방으로 본질이 희석되고 있다.

본질은 장난감을 삼킨 어린이가 ‘왜 사망할 수밖에 없었나’이다.

물론 응급상황에 처한 모든 환자가 최상의 조치를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했는데...’와 ‘아무것도 못했는데...’는 다르다.

첫째, CCTV등으로 확인한 결과 아이가 인근 내과로 이동하기 전부터 의식을 잃은 상태여서 이미 늦었다? 어린이집들이 아이를 제대로 보호 하고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지적이 있을 수도 있다.

두번째, 119에 신고가 됐음에도 아이가 어린이집 원장에 업혀 개인 내과의원으로 이동됐다? 응급상황 시 구급대 이용과 대처요령에 대한 대국민 교육이 정부차원에서 충분히 이뤄지고 있는지 고민해 봐야 할 것이다.

세 번째, 아이를 싣고 가던 구급대가 한 대학병원에 전원을 요청했고 병원은 이를 거부했다? 환자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이뤄지고 구급대와 의료진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제대로 됐는지에 대한 시스템 점검이 필요하다는 뜻일 것이다.

네 번째, 알고 보니 비교적 단순한 처치였다? 정말 단순한 처치였다면 구급대와 의료진이 이를 파악할 수 없었던 이유는 무엇인지 물어야 할 것이다.

다섯 번째, 지역응급의료센터였기 때문이다? 국제성모병원의 주장처럼 권역응급의료센터가 없어서 생긴 응급의료 인프라 부족이 원인인지 냉정하게 점검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번 같은 안타까운 사고가 터지면 우리 ‘어른’들은 항상 책임을 누군가에게 전가하거나 변명하면서 숨기 바쁘다.

서로 책임 떠넘기기만 할 것이 아니라 다시는 동일한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원인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대책을 세워야 하는 것이 우선 아닐까.

그 다음 순서로 누군가의 책임을 묻는 비판과 지적이 있다면 당사자는 이를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

인천 어린이집 2살배기 여아가 장난감을 삼킨 이후 1시간 만에 응급실에 도착했고 결국 사망한 것이 ‘팩트’이고 ‘비극’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