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승·로봇목사·군사로봇 등 인공지능 발전 한계 없어
과학 순기능 담보-역기능 최소화 ‘AI 윤리가이드’ 필요

박상은
△대통령직속 국가생명윤리위원장 △아프리카미래재단 대표 △고려의대 및 한동대 겸임교수 △샘병원 대표원장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이사장

4차 산업혁명이라 불리기도 하는 미래과학은 기존의 산업혁명과는 비교 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발전하고, 급속한 변화를 동반하고 있다. 게놈 프로젝트, 난자·정자 매매, 인공장기시대, 이종간 교잡, 줄기세포 연구, 장기배양, 맞춤아기, 유전자 가위기술 등 영화 속에서나 볼 수 있던 상상들이 실제 눈앞에서 이뤄지고 있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특히 AI(인공지능)는 최근 여러 분야에서 그 파급력과 영향력을 높이고 있어 대중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국내에서도 그 계기가 된 것은 바로 ‘알파고’다. 이세돌 9단과의 바둑 대결에서 4:1이라는 스코어로 압도한 이후 1년 만에 중국 커제 9단과의 경기에서는 단 한판의 패배도 용납하지 않고 전승을 거둬 놀라움을 전해줬다. 이는 인간이 반복적인 학습과 노력으로 바둑을 습득한 것과 달리 알파고는 스스로 다양한 상황을 가정해 자발적 학습을 한 결과다.

인공지능 스님·로봇 목사도 등장

인공지능 스님과 로봇 목사도 등장했다. 중국에서 처음 선보인 알파승 ‘센얼’은 불자들의 각양각색 고민을 척척 풀어줘 불자들이 가장 많이 찾는 스님(?)이 됐고, 독일에서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아 만들어진 로봇 목사는 축복의 설교를 거침없이 쏟아내며 손과 얼굴 등에서 빛을 발하는 특징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인공지능이 기술자와 근로자뿐만 아니라 성직자의 영역 또한 넘나들 수 있다는 의미로 다가온다.

가천대길병원에서 처음 도입한 인공지능 의학로봇‘왓슨’은 암환자들이 자신의 증상과 검사 결과를 입력하면 가장 적합한 치료 방법을 내주고 있는데, 교수들의 처방과 다른 경우 환자들은 왓슨을 더 신뢰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한다. 이언 길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우리도 깜짝 놀랄 정도로 왓슨이 내놓은 결과치가 인간(의사)의 판단과 대부분 일치했다”고 말한 바 있다.

MIT 인공지능 연구소의 감성 로봇 ‘키스멧(Kismet)’은 인간의 다양한 감성적 표정들을 스스로 만족하는 수준에 이를 때까지 자체적으로 학습하면서 표현하는 능력을 갖췄다‘. 키스멧’은 눈 동작과 얼굴 표정 등으로 관심, 평온함, 화남, 슬픔, 행복, 놀람, 싫증 등 7가지 감정과 느낌을 표현한다.

섹스로봇은 놀라움을 넘어 혼란을 안겨준다. 이미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섹스인형 ‘리얼 돌(Real Doll)’은 지난 2015년에 만들어졌고, 이를 모토로 미국의 어비스 크리에이션사(Abyss Creations)는 올해 말 시판을 목표로 인공지능형 섹스로봇 ‘하모니’를 준비 중에 있다. 1만5000만달러(1700만원)라는 고가임에도 남성들이 구입하기 위해 줄을 선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지난해 독일 에센 대학이 남성 263명을 대상으로 ‘섹스 로봇’ 구매 의사를 물었는데 40%가 5년 안에 한번쯤 사보고 싶다고 응답한 것은 향후 인간의 성적 욕구를 인공지능이 해결해 주는 시대가 머지않음을 예견하게 만든다.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군사로봇은 어떠한가. 현재는 인간의 최종 결정 및 명령이 있어야만 움직이지만 미래에는 인공지능을 갖춘 자율형 ‘킬러 로봇’으로 인해 심각한 윤리적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우려하고 있다. 노벨평화상을 받은 조디 윌리엄스가 킬러로봇 반대 캠페인을 벌이고는 있지만 미국과 이스라엘,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이미 킬러로봇의 활용을 고려하고 있다. 스스로의 의지로 살인할 수 있는 로봇에 인류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킬러로봇이 전시에 규칙을 준수하지 않고 총구를 아군에게 겨눈다면 그 책임을 누구에게 물을 것인가? 나노로봇이 집안으로 침범해 인간을 암살하고 다닌다면 우리 사회는 얼마나 큰 혼란에 휩싸일 것인가?

우리는 ‘할 수 있는 것은 모두 해도 되며, 하고 있는 것은 계속 시행돼야 한다’는 과학주의적 접근방식에 취해 있는 것은 아닐까? ‘할 수 있다고 다 해도 되는 것은 아니며, 하고 있다고 다 옳은 일은 아니다’는 생명윤리적 접근에서 과학을 바라봐야 한다. 인간 생명의 소중함을 되새겨 봐야 할 시점이라는 것이다.

인간생명은 단회적이며 그 무엇으로도 대체될 수 없다. 이는 절대적인 가치를 지닌다는 뜻임과 동시에 목적은 수단을 정당화하지 못한다는 절대주의에 입각해 인간의 존엄성을 신중히 다뤄야 한다는 의미다.

인간과 로봇 공생 인간에 달렸다

현재 우리는 과거 주로 인간의 지시를 따르기만 하던 ‘약 인공지능’ 시대를 거쳐 인간과 같은 감성과 자율성을 지닌 ‘강 인공지능’과 함께 숨 쉬고 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인공지능과 로봇은 끊임없는 발전을 거듭해 인간보다 뛰어난 자아를 가진 ‘초 인공지능’ 시대로 진화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초 인공지능로봇에 유전자 기술과 나노 기술이 결합돼 ‘로보 사피엔스’가 등장한다면 인류를 지배하는 ‘새로운 인류의 출현’으로 귀결된다. 이들은 단순한 섹스로봇이 아닌 가족의 구성원이 되며 스스로 복제하고 재생산해내는 자율적 판단으로 역으로 인간에게 명령을 내리는 지배자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인간과 로봇을 비교하는 근원적 물음으로 돌아가자. 인간이 신의 형상을 지니고 자율성을 갖춘 도덕적·목적적·관계적 소통능력을 지녔다면 로봇은 인간의 형상을 지니고 내재화된 자율성을 갖춘 준도덕적·수단적·제한된 관계성을 지닌 존재다. 더 늦기 전에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이 몰고 올 변화에 대비해 사회적, 철학적, 신학적 물음을 기반으로 인공지능의 개발과 사용 가이드라인뿐만 아니라 ‘윤리 가이드라인’을 만들어야 할 때다. 윤리와 과학의 아름다운 동행, 인간과 로봇의 바람직한 공생의 길은 우리 인간에게 달렸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