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카스의 동아제약은 영업실적 공개가 이뤄진 이후 지난 2013년 지주회사로 분할되기 전까지 매출 1위를 단 한번도 놓쳐 본 적이 없는 국내 No.1 제약기업이다. 단지 매출 뿐 아니라 신약개발에서도 혁혁한 성과로 한미약품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기업이며, 특히 사회공헌 등 모든 영역에서 타 제약의 모범으로서 국내 제약업계의 상징으로 꼽히는 기업이기도 하다. 동아ST는 이 동아제약의 기업분할로 탄생한 전문의약품 분야 사업 법인이다. 바로 이 기업이 최대의 위기에 봉착했다. 검찰의 리베이트 수사망에 갇혀 질식 직전이다. 부산 동부지검이 이 회사를 깊숙이 드려다 보고 있다.

'조사기간 3년에 압수수색 3회, 검찰 수사관 40여명이 투입돼 도매상 38곳 압수수색, 해당 제약사 직원 120여명에 대해 200차례 이상 소환 조사...’

김영주 부국장

리베이트 문제에 대한 검찰 수사는 그리 드믄 일은 아니다. 그럼에도 이번과 같은 조사 기간, 강도, 규모 등의 강력함은 전례를 찾기 힘들다. 영업책임자, 전직 CEO 등의 소환조사 및 구속, 오너 회장의 밤샘 조사까지 이뤄졌다. 이 정도면 해당 기업이 자다가도 경기할 지경이다.

이를 바라보는 제약업계의 소문이 흉흉하다. 이러다 국내 제약의 상징 기업이 치명적 상처를 입는 것 아니냐는 걱정에서부터 개별 기업 차원을 넘어 전체 산업에 대한 수사 확대로 산업 자체가 위기 속에 빠져드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는 우려도 나온다.

해당 기업의 현실은 보다 참혹하다. 영업이 제대로 될 리 없고, 일이 손에 잡힐 리 없다. 당장 매출 반 토막을 걱정할 지경이고, 인원감축에 더 나아가 사업존립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다.

이번 검찰수사에 대한 제약업계의 여론은 지극히 부정적 이다. 상식을 벗어난 이례적인 일이라는 데 이론이 없다. 업계 관계자들은 '왜 이럴까?'라는 자문(自問)아래 '동아에스티가 검찰에 밉보인 것 같다' 거나 '검찰이 또 다른 노림수가 있는 것 같다'고 자답(自答)한다. 실제 검찰조사 과정에서 '회사 문닫게 하겠다' 는 등 거친 말들이 여과없이 터져나왔다는 전언으로 기업에 대한 검찰의 심사가 곱지 않았다는 점이 확인된다는 풀이이다. 업계는 혹여 실적 과시를 위한 검찰의 무리한 짜 맞추기식 수사에 제약의 상징기업, 나아가 제약 산업이 희생양이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도 제기하고 있다.

제약기업들은 새로운 정부의 제약산업에 대한 기조가 육성 쪽인지, 규제 쪽인지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이번 문제가 혹여 악영향을 끼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기업이나 개인이나 털면 먼지 나기 마련이다. 누군가 현미경을 대놓고 들여다보고 있다면 얼마나 오싹한 일인가? 그것이 검찰이라면 두말할 나위도 없다. 검찰은 가까이 하기엔 너무나 부담스러운 존재로 여겨지곤 한다.

잘못에 대한 단죄는 당연하지만 혹여라도 억울한 피해가 있어서는 결코 안된다. 동아에스티는 임직원만 1600여명이고, 이들은 모두 불안감에 떨고 있다. 게다가 미래의 먹거리산업으로 촉망받는 제약·바이오산업의 앞날도 불투명한 지경이다. 검찰수사가 공정, 또 공정해야 하는 이유이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