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째 전방위 수사 불구 '안갯속'…해당 기업 생존 위기 직면

제약·유통 업계, ‘혐의에 비해 수사 과도하다’ 지적

리베이트 관련 소식에 제약업계는 언제나 예민한 반응을 보여왔다. 조사설이라도 돌라치면 각 제약 홍보실은 귀동냥 하느라 바빴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심드렁해 졌다. 다양한 형태의 여러 차례에 걸친 리베이트 조사가 한 곳 제약에만 집중되며 ‘또 거기야?’ 라는 반응 속에 더 이상 관심사가 되지 못했다. 그러는 동안 해당 제약사의 소리 없는 비명은 고통의 깊이를 더해 가고 있는 모양새이다. 부산동부지방검찰청의 동아에스티에 대한 리베이트 수사와 관련된 이야기 이다.

'조사기간 3년에 압수수색 3회, 검찰 수사관 40여명이 투입돼 도매상 38곳 압수수색, 해당 제약사 직원 120여명에 대해 200차례 이상 소환 조사...’

수사규모나 기간만 보면 무슨 재벌기업 대형비리 수사라도 벌이는 것 같은데 사실은 동아에스티 리베이트와 관련된 부산 동부지검의 수사진행 상황이다. 그럼에도 좀처럼 수사의 끝이 보이지 않는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제약 및 도매업계에서는 지방 연고 검찰이 서울에 연고를 둔 특정제약을 타겟으로, 3년에 걸친 전 방위적 수사는 전례가 없는 일이라며 그 배경을 놓고 갖가지 해석을 내놓고 있다.

‘동아ST가 검찰에 밉보인 것이 틀림없다’ 거나, ‘무언가 작품을 생각했는데 큰 게 없으니 무리하게 짜 맞추려 하는 것 같다’는 해석, 심지어 ‘오너를 겨냥한 것 아니냐?’는 의혹까지도 제기되고 있다.

관련 업계는 특히 이번 문제가 과거의 리베이트에 대한 수사에서 비롯된 문제라고 한다면 검찰의 과잉수사가 도마 위에 오를 수 있다는 점도 지적하고 있다.

물론 과거의 리베이트도 나쁜 관행으로 처벌돼야 하지만 리베이트 투아웃제, 쌍벌제 등 강력한 규제정책과 업계 자정노력으로 회사차원의 조직적 리베이트는 대부분 사라진 상황에서 과거 리베이트의 경우 대승적 차원에서 참작의 여지가 없지 않다는 것이 업계의 여론이다.

이런 가운데 3번이나 압수수색에 영업인력의 20%이상을 무작위 소환해 밤샘조사, 수 차례 자료제출 요청, 도매상 무작위 압수수색, 정부기관 압수수색 등 이번 수사에 대해 인권침해는 물론 무리한 측면이 있다고 보는 시각도 업계 내에서 존재한다. 특히 리베이트 조사가 특정 제약사에 집중되다보니 타깃조사가 아니냐는 주장도 나오고 있는 것.

한편 해당 제약사는 생존에 대한 위기감속에 감히 소리도 내지 못하면서 끙끙앓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실제 해당 제약사는 회사 이미지 추락으로 인한 실적 급감에 진행 중이던 계약 파기 등 심각한 상황에 처해있다는 것. 한 때 제약의 상징으로 통했고, 지금까지도 연구개발 부문에서는 한미약품과 더불어 가장 앞서가는 곳으로 꼽히는 제약사가 자칫 생존의 위기에서 몸부림치고 있는 양상이다.

잘못이 있다면 벌을 받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나 그 벌이 죄에 비해 과도하다면 당연히 공감을 얻기 힘들다. 이미 이 회사는 죄가 확정되기도 전에 범죄자로 낙인찍혀 사회에서 버림받고 있는 지경이다. 오랜 검찰수사로 리베이트 업체로 낙인찍히며 신용하락에 따른 계약파기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실정에서 만일 주저 않기라도 한다면 어쩔 것인가? 이 회사는 2016년 기준 정규직 직원만 1579명으로 직원수 기준 제약업계 5위 기업이다. 게다가 글로벌 신약개발을 기대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제약기업 이기도 하다. 새 정부가 그토록 일자리 창출을 외치고 있고, 신약개발이 새로운 먹거리산업의 핵심으로 부각되고 있는 요즘 검찰도 결코 이 회사의 몰락을 바라지는 않을 것이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