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서식영역 스스로 확장 주목-광역보호권 설정 등 과제

반달가슴곰이 지리산에서 백두대간으로 스스로 서식 영역을 넓혀 주목된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난 6월 14일 경북 김천 수도산에서 포획된 반달가슴곰을 조사한 결과 지리산국립공원에서 이동한 수컷 반달가슴곰으로 판명됐다고 밝혔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은 포획된 반달가슴곰의 유전자를 6월 15일부터 20일까지 검사한 결과 ‘우수리 아종’인 것으로 판명했다.

종복원기술원은 개체의 건강상태를 검진하던 중 귀에 상처가 아문 흔적을 발견하고, 이 개체가 2015년 출생하여 그해 10월 27일 지리산에 방사한 KM-53(수컷)인 것으로 확인했다.

이 반달가슴곰(KM-53)은 지리산 북부의 불무장등 능선 일대에서 활동하다가 지난해 9월 이후 발신기 이상(밧데리 소진 또는 탈락)으로 위치추적장치가 미수신됨에 따라 동면기 이후 헬기를 이용한 모니터링 등 집중적인 추적‧관찰을 받았던 개체다.

이 반달가슴곰은 지리산국립공원부터 백두대간을 따라 광주대구고속도로와 대전통영고속도로를 통과하고 덕유산국립공원 등을 거쳐 김천 수도산으로 이동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환경부는 그동안 야생동물 이동에 장애요인이었던 고속도로가 선형개량공사로 교량화되고 사치산 등에 생태통로가 설치(`16년)되면서 야생동물의 이동에 도움을 주고, 단절된 서식지 연결을 통한 백두대간 생태축 복원사업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반달가슴곰 복업사업 이후 이동한 사례는 경남 함양(15km)지역과 전남 구례(7km)지역이 있었으나, 이번 반달가슴곰은 이례적으로 80km 이상 이동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김천 수도산으로 이동한 사례는 이례적인 것으로, 그간 방사된 반달가슴곰의 대부분은 반경 15km 이내에서 활동하는 회귀하는 행동 패턴을 보였으며, 해외 연구결과에서도 수컷 흑곰의 분산 거리는 미국 0.6~80 km로 보고되고 있다.

이처럼 반달가슴곰의 서식지의 자연적 확대 가능성이 확인됨에 따라 방사지역 인근 뿐만 아니라 보다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리산권역 외에서의 안전사고와 올무에 의한 반달가슴곰 폐사 등 풀어야할 과제도 남아있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반달가슴곰 이동예상경로를 조사하여 반달가슴곰이 지리산권역을 벗어나 이동시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체계를 만들고, 이동예상지역의 지자체를 포함한 광역보호권역 설정․관리 등 이해관계자와 협력·대응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송동주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장은 “이번 이동 사례는 반달가슴곰이 백두대간을 따라 덕유산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고 언급하고, “한 종의 복원사업은 기술적인 문제 외에도 생태계 복원 필요성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를 바탕으로 곰과 인간의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성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