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현실적 인력배치기준과 간호 인력난에 전인적 간호 제공 힘들어
식사 못하는 환자도 생길 정도…간호 인력끼리 업무 떠넘기기도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이대로 괜찮나?’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의 원인 중 하나로 우리나라 특유의 간병·병문안 문화가 지적되어 제 2의 메르스를 막기 위한 대안으로 떠오른 ‘간호·간병통합서비스’. 2016년 기준 1만8000여 병상에서 40만 명의 환자가 이용하고 있으며 인력난 외에는 감염병 차단, 간병비 부담 감소 등에서 성공적인 정착 단계에 이르렀다는 평가가 있다. 그러나 본지(일간보사·의학신문)가 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병원 일부를 확인해 본 결과 정책과 현장에는 큰 괴리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2018년 전면 확대를 앞두고 일선 병원계는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본지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현황을 긴급 점검하여 3차에게 걸쳐 게재한다.

<글 싣는 순서>
① 통합서비스 병동에 사적 간병인 활용?
현장과 정책의 괴리, 그 안에서 피해는 환자 몫? ◀
③ 제대로 된 정착을 위해 개선할 점은?

(기사내용과 관계없음)

병원이 환자에게 전인적 간호를 제공하며 간병비 부담 감소, 감염병 예방 등을 목적으로 정부 및 의료계가 필요성을 인지해 확대 시행 중인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경험한 환자의 만족도가 높다는 조사결과는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이에 의료계는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원활하지 않은 간호 인력의 수급을 해결하는 것이 남은 과제’라고 목소리를 꾸준히 높였고 정부도 최근 해당 문제를 인지한 바 있다.

하지만 수도권 소재 A상급종합병원의 ‘사적 간병인’ 활용 의혹으로 촉발돼 본지가 취재한 결과에 따르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일부 환자들이 제대로 된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존재한 것으로 드러났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의 사적 간병인 고용은 A대학병원에만 국한된 것이 아닌 것으로 확인 된 것.

또다른 병원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 입원한 환자 B씨(남, 55세)는 실제로 ‘사적 간병인’에게 간병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B씨는 “간병인이 필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일반실과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하겠다”며 “특히 바쁜 점심시간에는 스스로 식사를 하지 못하는 환자들에게 간호사나 간호조무사가 식사보조를 해주곤 하는데 그런 환자가 몰리는 날에는 식사를 하지 못하는 사람까지 있었을 정도”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번은 병원 직원을 아무리 불러도 오지 않아서 물어보니 ‘너무 바빠서 그랬다’는 답변을 들었는데 그 많은 환자를 간호사가 모두 돌보는 것이 힘들어 보이긴 했다”며 “개인적으로 바쁜데 미안한 마음도 들고 해서 어쩔 수 없이 개인 간병인을 쓰게 됐다”고 전했다.

현재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등 의료기관 종별에 따라 간호사, 간호조무사, 간병지원인력에 대한 상이한 인력배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간호사 1인당 환자 최대 7명, 간호조무사 1인당 최대 40명, 종합병원은 간호사 1인당 환자 최대 12명, 간호조무사 1인당 최대 40명, 병원은 간호사 1인당 환자 최대 16명, 간호조무사 1인당 최대 40명이 기준이다.

■ 비현실적 인력배치 체계 = 팀 간호체제 붕괴 위기

반면 이 같은 인력 배치 기준이 비현실적이라는 주장도 꾸준히 제기돼 왔다.

병원간호사회는 최근 환자 중증도 별로 분석해 의료현장에서 원하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간호인력 배치기준 재편성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기사내용과 관계 없음)

병원간호사회는 “연구에 따르면 중증도가 높은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평균 환자수 5.5명 당 간호사 1명, 환자 수 20명 당 간호보조인력(간호조무사+간호보조원) 1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종합병원도 간호사 1인당 환자수가 8명을 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즉, 병실 1개 당 4인이 입원한다 하더라도 간호사 1인이 2개의 입원실, 간호조무사 한명이 10개의 입원실을 관리해야 한다는 뜻.

이는 현재의 인력 기준이 환자에게 질 높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정한 배치기준인지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의미다.

결국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간호 인력난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한다고 가정하더라도 제도의 본래 취지인 ‘보호자와 간병인 없는 전인적 간호’는 힘들다는 계산이다.

문제는 이 같은 제도와 현장의 괴리가 ‘팀 간호체제’마저 무너뜨리고 있다는 점이다.

경기도의 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시행 병원에서 근무하는 직원 C씨는 간호 인력끼리의 갈등에 환자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고 주장했다.

C씨는 “통합 서비스 병동안의 환자를 케어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와 간호조무사간의 협력이 필수인데 바쁜 시간에는 인력부족으로 서로 일을 미루다보니 다투는 경우가 종종 있다”며 “환자들 입장에서는 불만이 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이고 이렇다보니 사적 간병인을 고용하고 싶은 그들의 마음도 이해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당초 제도 시행 전에 간호인력들이 입원 환자의 모든 것을 돌봐야 한다는 오해 속에서 '심부름꾼이 되는 것은 아니냐'는 우려 섞인 얘기까지 나왔는데 지금은 아무도 그런 얘기를 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