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기·회복기·만성기 병동 구분---지역중심 재택복귀 재활치료 제공 
日소노다 회장, 아이엠재활병원 새병원 준공기념 특강 예정 

아급성기(회복기)를 담당하는 재활병원 종별신설 여부로 우리나라 의료계가 논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일본의 선진 재활의료시스템과 아급성기 기능을 중점적으로 다룰 기회의 장이 마련된다.

소노다시게루 일본 회복기재활병동협회 회장은 오는 12일 열리는 아이엠재활병원 새병원 준공기념식 학술행사에서 특강을 통해 ‘일본의 재활의료체계’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발표한다.

이날 박창일 명지춘혜병원 명예원장(전 연세대·건양대 의무부총장)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소노다 회장은 “일본은 급성기(급성기병동), 아급성기(회복기재활병동, 지역포괄케어병동), 만성기(장기요양형병원, 의료요양병동)으로 나눠 입원과 외래에 대해 수가체계를 달리하면서 지역사회 병상 기능분화와 연계를 추진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할 예정이다.

소노다 회장에 따르면 일본은 회복기 기능을 ‘급성기를 경과한 환자에 대해 재택복귀를 위한 의료 또는 재활치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는 급성기 이후 뇌혈관질환, 대퇴골 골 경부골절, 기타 질환 환자에 대해 ADL(일상생활에 대한 기본적인 동작을 하는 능력) 향상, 재택 복귀를 목적으로 재활치료를 집중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결국 급성기와 만성기 기능은 뚜렷하게 다른 기능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일본은 2025년 새로운 의료체계를 도입할 계획이다. 고도·일반 급성기와 만성기는 많고 회복기는 적은 현재의 ‘트로피’ 모양에서, 고도급성기 18만 병상·일반급성기 35만 병상·아급성기 등 26만 병상·장기요양 28만 병상의 ‘종’ 모양의 지역밀착형으로 개선된다.

소노다 회장은 “새 의료체계는 급성기에서 입원초기부터 적극적 재활치료를 도입하는 등 병상기능을 명확히 하고 기능에 맞춘 평가를 도입하게 된다”며, “회복기와 장기요양병동의 기능과 역할을 구분하고 외래를 강화하게 된다”고 강조할 계획이다.

대한재활병원협회(회장 우봉식)에 따르면 우리나라 보다 먼저 인구 고령화를 경험한 일본의 경우 지난 2000년 회복기 재활병동 제도가 도입되어 현재 일본 전역에 1600개가 넘는 민간 의료기관에 회복기 재활병동이 설치되어 있다고 전하고, 대도시의 대형 병원이 아닌 집 가까운 곳의 재활전문 기관에서 재활치료 서비스를 받는 ‘지역 기반 재활(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을 통해 높은 재택 복귀율과 기능 호전을 가져오고 있다고 밝히고 우리나라도 인구 고령화를 맞아 재활병원 제도가 반드시 도입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복지부는 지난 해 제정된 ‘장애인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오는 7월부터 1년간 재활병원 시범사업을 시행하여 그 결과를 평가하여 재활병원 인증에 관한 세부 기준을 정하고 시행할 예정으로 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