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9일 대선이 치러진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으로 무려 7개월이나 빨라진 대선이기에 누굴 찍을지 혼란스럽다는 걱정이 의료계에서도 나온다.

이정윤 편집부국장

대통령 중심제를 채택한 우리나라에서 대선은 가장 중요한 참정권을 행사하는 축제이자, 밀린 직능 민원을 해결하는 지름길로 통한다.

하지만 수많은 직능 간 이해가 충돌하고 정파의 정체성까지 겹쳐 의료계 숙원을 풀기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라는 점을 그동안의 경험이 증명한다.

현재 국내 의사들은 11만명에 육박하고 간호사(간호조무사 포함)는 백만명이 훌쩍 넘고 있으며 물리치료사, 방사선사, 약사, 치과의사, 한의사 등을 포함하면 보건의료인은 실로 적지 않은 숫자다.

그 가운데 의사들은 의료계에서 환자 치료 시 다른 직능의 종사자들을 지휘 감독하는 ‘오케스트라 지휘자’로 통한다.

하지만 대선이나 총선 등 의료정책이 가르는 정치적 분기점에서 지휘자 지위는 커녕 초라하기 그지없는 성적표를 받아든게 현실이다.

가깝게는 지난 총선에서 한 명의 비례대표도 배출하지 못해 약사, 간호사 직능에 비해 밀린다는 지적을 받았다.

의료계 내부에서는 나름 정치적 역량을 키우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나 이번 대선에서도 별반 성적을 올리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 저변엔 여러 이유가 있겠으나 의료계에선 의사 사회 내부의 분열과 ‘집토끼’ 성향 분류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는 지적이 많다.

의료분야 특성상 내과가 추구하는 이익과 가정의학과가 의사가 지향하는 이익이 다르다보니 의료계 요구사항이 정리가 안된다.

전문과목별로 따로 정치권이나 정부를 접촉해 자신들의 애로사항이나 정책을 전달하니 정치적 압력으로 기능하지 못한다.

정치인 눈에 의사들이 오합지졸로 보이는데 도움을 줄 리가 없다.

집토끼론도 그렇다.

전통적으로 의사들은 특정 이념성향을 보여온 집단이다.

총체적 삶의 결정체인 정치성향을 나무랄 일은 아니지만, 오랫동안 특정 정파에 집토끼로 인식돼온 점은 의사 스스로 발목을 잡았다는 분석을 새길 만 하다.

어떤 의료정책을 세워도 ‘묻지마 표’를 주는데, 정치인이나 정치집단의 관심을 끄는게 더 이상하다.

모름지기 선거 공학은 집토끼에다 산토끼를 얼마나 보태느냐의 싸움이다.

요즘 부쩍 회자되는 단어, 외연확대가 그것이다.

한 표가 절실한 대선 후보에게 ‘집토끼’로 인식되는 일은 아무것도 얻을 수 없다는 것과 다름없다.

불과 보름여 앞으로 다가온 대선 형국에서 주요 정당의 공약들은 이미 정해졌다.

의료계의 요구가 얼마나 반영됐는지 평가가 필요하지만, 지금은 다음을 위해 의료계가 집토끼 분류에서 벗어나는 일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의료계가 '의료정책'을 투표 기준으로 삼고 이번 대선부터 실행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