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국회도서관에서 간호조무사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지난해 대한간호조무사협회가 간무사 666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가 공개됐고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계자들의 논의가 오고 갔다.

이번 토론회가 갖는 표면적 의미는 두 가지다. 하나는 간호조무사 단일 직종에 대한 임금·근로 실태를 파악한 첫 번째 조사라는 것과 간호조무사협회 차원에서도 간무사와 관련된 단독 토론회를 열었다는 점이다.

그동안 간호조무사는 70만 명에 육박하는 자격소지자와 폭넓은 활동 영역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의료정책과 정치권, 언론에서조차 소외돼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이 같은 사실은 토론회에 참석한 복지부 관계자의 생각에서도 드러났다.

복지부 변성미 의료자원정책과 사무관은 “간무사는 규모나 직종 적인 면에서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2015년 말에 의료법이 개정되고 나서야 전면에 등장했다”고 말했다.

의료계와 병원계도 이번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논의된 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과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함께 주장했고 지속적인 토론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반면 갈 길이 멀다는 지적도 많았다.

실제 이번 조사가 모바일로 이뤄졌다는 점과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담지 못했다는 것, 비교 대상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즉, 현재로서 이번 토론회에서 공개된 결과는 간무사 근로환경 개선추진을 위한 데이터를 처음으로 축적한 것 이상의 의미를 갖기 힘들기 때문에 주기적인 설문을 통한 실태조사로 객관성을 담보해야 한다.

그렇게 쌓이는 데이터는 간무협이 간무사와 관련된 정책과 제도를 추진하기 위한 밑거름이 되기 때문이다.

객관적 근거가 없는 주장과 제안은 관계자와 국민, 심지어 당사자까지 설득하기 힘들고 투정으로만 느껴질 수 있다.

이날 토론회에서 가장 많이 들린 단어는 시작, 첫걸음, 첫발 등이다.

이처럼 간무협은 간호조무사에 대한 의료계, 병원계, 언론의 이목을 끄는데 일부 성공했고 정부 또한 “아직 법적 실체가 없는 간호조무사협회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의료법 개정 작업 중”이라고 밝혔다.

간무사가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한 판은 마련됐고 처음으로 실시된 이번 실태조사가 용두사미가 되지 않으려면 간무사 관련 단체들의 더 많은 노력과 고민이 필요할 때다.

기회는 자주 있는게 아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