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소아기·노인 등에서 원인질환 감소…진료비는 14% 증가한 1512억원

지난해 뇌전증 환자가 13만 8천명을 기록했는데, 이는 5년 동안 2.5% 감소한 수준으로 소아기·노인 등에서 원인질환이 감소한 결과인 것으로 분석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은 '뇌전증(G40-G41)'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2일 공개했다.

뇌전증 질환으로 진료 받은 환자는 2010년 14만 1251명에서 2015년 13만 7760명으로 감소(2.5%↓)했다.

성별로 보면, 뇌전증 질환으로 진료 받은 환자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많았다. 남성은 2010년 7만 8824명에서 2015년 7만 6736명(2.6%↓), 여성은 2010년 6만 2427명에서 2015년 6만 1024명(2.2%↓)으로 감소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이준홍 교수는 "뇌전증 환자감소는 소아기 및 노인에서 뇌전증의 원인 질환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보인다"며 "소아는 출생 전후 뇌손상, 뇌 염증성질환이나 유전성질환 등을 관리 및 치료함으로써, 노인은 뇌혈관질환(뇌졸증)이나 치매 등의 퇴행성 뇌질환 및 낙상 등으로 인한 뇌손상이 주된 원인인데 이를 적극적으로 치료해 발생률이 감소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2015년 기준 연령대별 환자 현황을 보면 20대(2만 1천 명, 15%)가 가장 많았으며, 40대(2만 명, 14.2%), 10대(1만 9천 명, 14.1%)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20대(1만 2천 명, 16%)가 가장 많았고, 여성은 40대(8만 7천 명, 14.2%)가 가장 많았다.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에서는 남성이 70대 이상이 447명으로 가장 많았고, 10대 380명, 20대 342명 순이었다. 여성은 10대와 70대 이상이 323명으로 가장 많았고, 20대 262명 순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0년 1325억 원에서 2015년 1512억 원으로 증가(14.1%↑)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 진료비는 2010년 370억 원에서 2015년 513억 원으로 증가(38.6%↑)증가했고, 외래는 같은 기간 955억 원에서 999억 원으로 증가(4.6%↑)했다.

이준홍 교수는 "연령에 따른 뇌전증의 발생률은 일반적으로 선천 발달 및 유전질환 등의 원인으로 인해 생후 1년 이내에 가장 높다가 청소년기를 거쳐 장년기에 발생률이 낮아졌다가 60대 이상의 노인 연령층에서 다시 급격히 증가하는 U자 형태를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노인 연령층에서 발생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이유는 뇌졸중이나 퇴행 뇌질환의 증가로 인한 증상뇌전증(symptomatic epilepsy)의 발생 때문"이라며 "최근에는 소아 환자는 줄어들고 노인환자는 증가하는 현상이 더욱 심화 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고령사회로 접어든 선진국에서 더욱 현저하다"고 해석했다.

어릴 때부터 뇌전증발작이 있는 환자의 분만중 뇌손상이 의심되는 소견

뇌전증은 만성적인 신경성 질환 중 하나로 뇌신경 세포의 불규칙한 흥분으로 인해 갑작스럽고 무질서한 전기적 활동이 나타나면서 발작 등의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간질 발작은 뇌세포에서의 비정상적인 전기의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발작은 기능적인 이상이 있는 뇌의 부위에 따라 의식의 변화, 사지의 경련, 언어 장애, 신체의 이상감각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데, 이런 발작이 반복해서 나타나는 것을 뇌전증(腦電症, Epilepsy)이라고 한다.

원인이 되는 요소들은 다양하고 나이에 따라 변화하는데, 선천성 질환, 여러 종류의 뇌손상, 뇌의 염증, 뇌종양, 뇌혈관질환(뇌출혈, 뇌경색)퇴행성질환 등 각종 뇌질환에서 간질발작을 일으킬 수 있지만, 간질 환자의 절반 이상은 원인을 명확히 밝혀낼 수 없다.

아직까지 뇌전증이 왜, 어떤 과정을 통해 일어나는지에 대해서는 과거에 비해 많은 진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정확한 기전은 잘 모르는 실정이다.

다만 △태어나기 전, 분만 중 혹은 분만 직후에 여러 이유로 일어나는 뇌 손상 △뇌의 선천적 혹은 유전적 이상, 발달이상 △뇌외상 혹은 뇌수술로 인한 후유증 △뇌수막염, 뇌염 등의 중추신경계 감염성 질환 △중추신경계를 손상 시키는 독성물질 혹은 대사이상, 영양결핍 △뇌경색, 뇌출혈 등 뇌혈관계 이상 △악성 혹은 양성 뇌종양 △일부 유전적 성향이 있는 양성 소아, 청소년기 뇌전증 (idiopathic epilepsy) △여러 검사에서 원인을 못 밝히는 경우 (cryptogenic epilepsy) 등이 뇌전증과 깊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전증은 유발인자를 잘 관리함으로써 발작빈도를 낮추고 약물투여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발작재발을 유발하는 요소들, 즉 불안, 수면박탈, 알코올 금단 등을 찾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뇌전증 진단에는 문진과 병력청취, 신체진찰과 신경학적진찰, 실험실 검사와 함께 뇌파검사와 신경영상검사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발작질환이 의심되는 환자는 원인을 찾기 위해 신경영상검사를 한다.

일반적인 뇌전증 치료 요법은 약물요법이으로 아직까지 뇌전증을 완치할 수 있는 약물은 개발되지 못했으나, 기존의 항경련제로 2/3의 뇌전증환자는 발작 없이 지낼 수 있고, 일부 환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치유될 수도 있다.

충분한 기간(보통 2년)동안 2종 이상의 약물 치료에도 불구하고 경련발작이 지속되면 수술을 고려할 수 있으며, 난치성 소아 환자는 케톤식이법이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나 성인의 경우 그 효과가 제한적이고 무엇보다도 환자 자신이 케톤식이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