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훈 교수, 통일 대비 보건의료분야 5개 대비안 강조

남북 정치상황이나 국제정세에 영향 받지 않고 지속될 수 있는 ‘남북보건의료 협력 상설 기구’의 설립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남북보건의료교육재단 김영훈 이사(고대안암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지난 19일 그랜드앰배서더호텔에서 열린 ‘함께 나누는 통일의 꿈, 건강한 한반도 후원의 밤’ 행사에서 남한 의료와 북한 의료를 비교하고 통일을 대비한 대북 보건의료 교류 컨트롤 타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영훈 이사의 ‘World Health Statistics 2014’자료를 기초로 한 설명에 따르면 북한이 처한 의료 현실은 남한에 비해 모든 수치에서 열악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김영훈 남북보건의료교육재단 이사(고대안아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대비 없는 통일은 보건의료 전반에 걸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우선 평균기대수명의 경우 남한이 81세인 것에 비해 북한은 70세이며 인구 1천명당 남/여 사망률 또한 ‘98명/40명(남한)’의 2배에서 3배가량인 ‘188명/115명’로 나타났다.

이어 북한의 출생 10만명당 모성사망률과 인구 10만명당 전염병 사망률은 남한보다 약 3배 높았고 출생 1천명당 5세 미만 영유아 사망률도 29명으로 남한의 4명과 비교해 7배가 넘었다.

특히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북한의 결핵발생률은 다제내성이라는 면에서 문제가 심각해 북한과 인접한 지역의 거주자들과 군인들에게 영향을 끼쳐 북한 의료의 환경이 남한과 별개의 문제라고 볼 수 없다는 김영훈 이사의 설명이다.

김영훈 이사는 “신종 감염병 및 동물매개 질환 유행 시 남북 공동 방역소독사업 실시와 공동대처 정보교환을 위한 남북 전염병 핫라인 개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즉, 남한은 바이러스 질환인 것에 반해 북한은 세균성 질환이기 때문에 준비 없는 갑작스러운 통일은 북한의 열악한 보건의료 실태가 남한의 생존에도 위협을 줘 보건의료 시스템의 붕괴를 초래할 수 있으니 대비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것.

김 이사는 “황폐화된 북한의 의료 복구 없는 통일은 재앙으로 다가올 수가 있다”며 “과거 서독은 통일 20여 년 전부터 동독의 보건의료 개선을 위해 대규모 의료지원을 지속했음에도 통일 이후 격차를 해소하기까지 20년이 추가로 소요됐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그는 “정치, 이념, 사상이 아닌 통일의 가교역할과 누구나 건강하게 살 권리를 위한 생명차원의 교류목적이 중요하다”며 “개성남북협력병원을 시작으로 남북공동 질병관리 본부를 만들자”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김영훈 이사가 주장한 ‘통일 준비를 위한 보건의료 핵심과제’ 5개는 ▲북한의료에 대한 관심 증대 ▲감염병등 남북 공동 퇴치 사업 추진 ▲북한의료교육 및 병원등 인프라 구축 사업 ▲통일의료보건 분야의 전문가 양성 ▲북한 이탈주민 출신 의료인과의 네트워크 구축 등이다.

한편 김 이사는 북한과의 공동 연구가 남북 보건의료에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의견도 개진했다.

그는 “남북으로 갈라진 독특한 환경변화가 특정 질병에 미치는 영향 등 상호 강점을 활용한 협력연구로 보건의료분야의 새로운 기회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