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문규 보건복지부 차관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 한 해 총 511개 제약사가 2만여 품목의 의약품을 생산·수입하였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17조 7천 억원에 달한다. 의약품의 안전한 사용 및 투명한 유통체계를 조성하는 것은 국민건강증진을 위해 일하는 보건복지부의 중요한 정책목표이다.

2010년 11월 ‘리베이트 쌍벌제’를 도입한 이후에도 복지부는 투명한 의약품 유통 환경 조성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펼쳐 왔다. 2014년 7월에는 리베이트 관련 약제에 대해 요양급여를 제한하도록 하는 법령 개정이 이루어진 바 있다. 최근에는 의약품의 생산·수입부터 유통까지의 과정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일련번호제도 도입을 준비하여 왔으며, 내년부터 본격적인 시행을 앞두고 있다.

모든 전문의약품은 상품코드, 제조번호, 유효기한 정보를 담고 있는 바코드나 RFID 태그(tag)를 포함하고 있다. 금년부터 국내 생산·수입되는 의약품의 포장 단위마다 고유번호를 바코드 등에 포함하도록 한 바 있으며, 내년부터 생산·수입되는 모든 전문의약품은 이 고유의 일련번호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제약사나 의약품 도매상은 제품을 출하할 때 의약품 공급내역에 일련번호 정보를 포함하여 의약품 관리종합정보센터에 보고하도록 관련 법령 개정이 이루어진 바 있다.

이를 통해 제약사에서 생산·수입된 의약품이 도매상을 거쳐 요양기관으로 유통되는 전체 경로를 의약품 최소 유통단위로 추적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현재의 총량 중심에서 개별 의약품의 최소 유통단위 관점으로 유통관리 체계의 패러다임이 바뀌게 되는 것이다.

의약품 이력관리체계가 구축되면, 위조·불량 등 문제의약품의 즉각적인 회수가 가능해지며, 보고된 정보는 의약품 유통현황이나 실거래가 조사 등에 활용하여 건강보험 재정절감과 투명한 의약품 유통질서 정착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앞으로는 병원이나 환자도 웹이나 어플리케이션 등을 활용하여 의약품 유통경로를 직접 확인하고 위조의약품 여부 등을 판별할 수 있도록 추진해갈 것이다.

내년부터 본격 시행되는 의약품 일련번호 제도의 정착을 위해서 앞으로도 복지부는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하면서, 제약사와 의약품 도매상, 요양기관의 적극적 협조는 물론, 국민들의 관심 속에서 의약품 이력관리(track and trace) 체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올 한 해 5개의 국내개발 신약의 승인과 최근 한미약품의 기술수출 사례는 신약개발을 위한 제약업계와 정부가 꾸준하게 애쓴 노력이 열매를 맺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더 큰 도약을 위해서는 제약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그 간의 정책과 협력 체계를 다시 한 번 함께 점검해야 할 것이다.

의약품 일련번호제도는 선진화된 유통체계로 발돋움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다. 이는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일이며, 동시에 제약업계 모두의 이익을 위한 일이 될 것으로 본다. 복지부는 이러한 목표를 향해 제약·유통업계, 의료계와 협력하면서 국민건강증진과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해 노력할 것이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