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용균
한국병원경영연구원 연구실장

병원계가 경제 저성장의 여파로 중병을 앓고 있다. 그동안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던 환자 증가와 수익이 정체현상을 보이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4년도 상반기 통계에 의하면 진료비가 전년 동기 대비 6.6% 늘어났다. 이정도 수준의 성장세는 양호한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그 실상을 살펴보면 주로 노인환자 증가가 주요 증가요인이다. 이는 의료기관 종별 성장세를 살펴보면 알 수 있다. 즉, 상급종합은 마이너스(-0.1%) 성장세이고, 병원은 전년 대비 0.5% 성장을 하여 병원급 의료기관의 저성장 추이를 알 수 있다.

특히, 올해 8월 1일부터 병원의 선택진료제 개편으로 병원의 수익이 감소하고 있다. 그리고 9월 1일부터 기본 병실료를 환자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4인실까지 확대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같은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의 시행으로 병원의 선택진료비 수익은 감소되고, 9월부터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기본병상이 4인실까지 확대되면서 병원입원료의 수익 감소가 예상된다.

이에 따라서 지방중소병원은 벌써부터 6인실 기준병실을 4인실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중소병원들이 병상 수를 줄여서 4인실 병상으로 전환하면 인상된 기본입원료(1.6배) 수가를 적용받고, 간호등급 상향조정을 통한 입원수가 가산료를 받는 자구책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이밖에 현행 입원료 수가로는 입원병상의 더 이상의 운영은 무의미하다고 판단하여 종합검진이나 편의시설 등 병원의 수익사업으로 시설전환의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이처럼 의료기관은 건강보험 수가정책에 변화에 따른‘살아남기’가 의료계의 주요관심사가 되고 있다. 과거 80년대와 90년대 병원성장기 시절에는 병원의 성장과 확대경영이 주관심사였다. 하지만, 국내 병원의 성장이 둔화되고 성숙기가 접어들면서 대부분 병원들은‘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 의료기관은 경영의‘위기관리’에 대한 노하우는 낮은 편이다. 왜냐하면 저성장을 겪어보지도 않았고, 위기관리에 대한 지식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병원이 도산하는 경우에 대비한 법적, 제도적 장치도 마련되지 있지 않다. 그동안 병원의 퇴출구조(exit plan)에 대해서 국회에서 입법화가 추진되었지만‘의료상업화’를 부추긴다는 이유로 법제화가 무산되었다. 따라서 법인병원이 망하면 아무런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이처럼 저성장시대에 접어 든 현 시점에서 병원의 지속경영은 오로지 병원의 몫이다. 따라서 병원의 노사(勞使)가 다함께 병원의 지속경영에 공동의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진주의료원 사태에서 경험한 것처럼 병원이 폐업하면 노사가 함께 공멸하기 때문이다. 병원이 지속경영을 위해서는 병원경영정보를 함께 공유하고 소통하는 문화가 필요하다. 이를 기반으로 내외의 위기에 대한 노사가 공동으로 대처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또한 병원은 그 어떤 산업보다도 정부정책에 많은 영향을 받는 산업이다. 따라서 병원경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책변화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즉, 병원에 경영위기와 초래할 수 있는 정책적 변화에 대해서 사전 준비와 대응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밖에 병원CEO는 직원들이 위기극복 참여자로 적극적인 포지셔닝을 취할 수 있도록 정례적인 소통 채널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즉, 병원의 경영악화나 경영어려움에 대한 통계자료를 공표하여 병원위기를 공유시스템을 통해서 공동대응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