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훈 교수의 원 포인트 JCI - 60

혹자는 ‘JCI가 돈벌이를 목적으로 탄생한 별 의미 없는 미국의 기관 정도’라고 평가절하 하는 발언을 한다. 참으로 애석한 일이다.

단순히 돈벌이를 목적으로 하는 기관으로부터 미국을 비롯한 많은 나라의 병원들이 인증을 받으려고 할까? 인증 과정을 거치면서 개인적으로 받은 느낌은 JCI측은 그들이 제시한 원칙을 잘 지키는 지 여부를 까다롭게 따지기는 하지만 떨어뜨리기 위한 절차라기보다는 가급적 환자의 안전에 충실한 의료 문화를 병원 측이 받아들이고 그를 통해 질적인 개선을 꾸준히 추구하는 것이 옳다는 사실을 진심으로 갖고 있는지를 확인하려 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인증 절차를 들여다보자. 먼저 인증에 필요한 경비는 인증을 신청한 기관의 몫이다. 천재지변과 같은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어려운 사정이 생기면 당연히 연기할 수 있다.

예정된 인증 실사 한 달 이내에 취소하거나 연기하는 경우는 비용의 절반을 지불해야 한다. 인증에 필요한 경비는 기관에 따라 가격이 달리 책정되며 인증 심사 이전에 절반을 입금하고 심사 후에 나머지를 지불하게 된다.

인증 과정에서 의도적으로 거짓된 정보를 준 경우는 당연히 인증은 취소되고 1년간 재 인증을 시도할 수 없다.

심사 후 결과는 60일 이내에 통보가 되는데 각각의 심사 결과를 수치로 통보 받지 않고 인증 합격 여부만을 알려준다.

수치화 하는 내용은 책을 참조하시기 바란다. 쉽지 않은 심사 기준을 들이댈 것이다.

심사 과정에서 억울하게 평가를 받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이 있으면 병원은 추 후 일정 기간 안에 JCI 측에 정확한 해명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JCI 는 이를 받아 들여서 최종 결론을 내는 데 참조해야 한다.

JCI 측은 실사 과정 중에 인정하기 어려운 부분이 발견되면 focused survey를 병원 측에 요청하는데 이에 소요되는 비용은 병원이 부담해야 한다.

이때는 대개 한 사람이 하루 이틀만 보고 가기 때문에 비용이 많지는 않는다 해도 어쨌거나 한 번에 인증을 받아야지 걸리면 피곤해진다.

재미있는 것은 인증 심사 후 60일에서 180일 사이에 Validation survey 라는 것을 신청할 수 있는데 이는 JCI 실사 과정이 적절하게 잘 진행되었는지를 다른 팀이 와서 모니터링 한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다시 말해 JCI 측의 QI 활동 같은 것이다. 당연히 병원이 비용을 지불하지 않는다.

< 고대안암병원 QI위원장 >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