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훈 교수의 원 포인트 JCI - 59

JCI 인증을 떠나서 JCI측이 원하는 병원과 우리의 상황을 한번 비교해 보고자 한다. 근접오류부터 보자.

투약 지시를 하면서 용량을 잘못 표기하는 경우는 너무도 흔한 일이다. 우리 병원만 해도 한 달에 100여건이나 된다. 수시로 잘못되는 투약 오류가 아무렇지도 않게 지나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개개의 사건들을 보고하고 집계하는 병원이 있던가? 아마 없을 것이다. 그러니 수시로 발생하는 작은 오류를 시정하려는 노력은 당연히 없을 것이다. 지금은 대부분의 병원이 약품 정보 시스템을 통해 투약 오더에서 잘못된 용량은 자동으로 걸러지지만 그러기 까지는 바로 이런 오류를 시정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당연히 보고하고 통계를 내고 분석한 후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것인데 아마도 대부분 보고 조차 되지 않았을 것이다.

우리 병원은 OCS 화면에서 간단하게 보고할 수 있도록 양식이 설정되어있다. 그리고 약물 부작용이 난 환자는 환자 정보에 해당 약물과 유사 성분 약물의 부작용 내용까지도 입력되며 해당 환자가 어떤 과에서 처방을 받든 경고창이 나타난다.

이렇게 시스템으로 막아야하는 것이지 개개의 의료진이 조심한다고 되는 문제는 아닐 것이다. 우리식 peer review를 한번 보자.

수술 합병증과 연관된 의료사고가 났다고 하자. peer review를 한 결과 원인으로 해당 외과 의사의 경험 미숙이 지적되었다면 의료사고 소송을 의식한 나머지 peer review는 솔직한 결론을 도출하기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JCI의 원칙대로라면 해당 외과의사는 일정 기간 supervisor의 감독 하에 수술을 하고 상승된 결과가 어느 정도 축적되어야 독자적인 수술을 할 수 있다.

이런 것이 합리적인 것 아닐까? 인증 후에는 중대한 적신호 사건은 JCI 측에 보고하고 함께 상의하면서 질적인 개선안을 내놓고 실천해야 함이 원칙이다. 원인 분석과 실천을 중시하는 그야말로 제대로 된 위험관리 시스템을 보여야 한다. JCI는 인증병원으로부터 신고 된 적신호 사건에 대해 사회에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 비공개를 원칙으로 함께 해결책을 만든다.

JCI는 병원 내 위험관리 활동을 통해 병원은 물론 사회가 함께 건전한 의료 문화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는 것을 이상적인 모델로 하고 있다.

병원이 보고하지 않은 중대한 사건을 JCI가 인지한 경우, JCI 측에서 역으로 조사가 나올 수 있음을 명시하고 있다. 이런 경우 실비는 병원 측이 부담하게 돼있다.

< 고대안암병원 QI위원장 >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