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본인-가족 고통 경감' 최대 이유

국민 10명 중 7명은 안락사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적극적 안락사는 74%가, 소극적 안락사는 68%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적으로 적극적 안락사의 찬성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사회연구원 사회조사팀 김미숙 박사는 지난 21일∼23일까지 3일간 전국의 20세이상 성인남녀 738명을 전화조사한 결과를 27일 이같이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은 적극적이든, 소극적이든 간에 대다수가 안락사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독극물을 주사하는 것과 같은 '적극적 안락사'는 74% 찬성, 26% 반대로 나타났으며, 필요로 하는 조치를 하지 않거나 인위적으로 생명유지 장치를 제거해 죽게 하는 '소극적 안락사'는 68%찬성, 32% 반대로 나타났다.

 적극적 안락사의 찬성 이유로 가장 많은 것은 '환자의 극심한 고통을 경감시켜주기 위해'로 전체 응답 중 81%가 찬성 이유로 꼽았으며, 기타 '가족의 고통을 경감시키기 위해서'가 11%, '인간이 품위있게 죽을 권리가 있기 때문'이 5.3%를 차지했다. 또한 이중 가족중 임종환자가 있는 경우 찬성률이 79%였던 반면, 없는 경우는 73%로 가족중 환자가 없을때가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외 적극적 안락사보다 다소 낮은 찬성률을 보인 소극적 안락사의 경우는 찬성이유로 적극적 안락사와 같이 '환자본인과 가족의 고통경감'이 가장 많았으나, '적극적 안락사'가 연령 및 학력별로 별 차이가 없었던 반면, 60대이상, 중학교졸업 이하에서 각각 77%, 79%의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

 또한 가족중 임종환자가 있는 경우가 찬성 78%, 반대 67%인 것으로 나타나 '적극적 안락사'와 같이 가족중 환자 유무가 찬성률에 다소간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를 두고 김미숙 박사는 "환자에게 무익한 치료의 중단(소극적 안락사)이 취약계층에서 더 많이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오히려 이런 계층에서 악용될 소지가 많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번 조사의 특이한 점은 종교계가 보수적인 입장에서는 안락사를 반대하고, 부분적으로는 소극적 안락사가 아닌 '연명치료의 중단'에 동의한다는 입장인 반면, 조사에서는 종교인, 비종교인간 비슷하게 나타나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