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cm 미만 동맥류 수술시 생존율 개선 안돼

크기가 5.5cm 미만인 복대동맥류는 수술적 중재보다 정기적 감시법이 최선이라는 내용의 보고서 2편이 '뉴잉글랜드의학저널'(NEJM) 9일자에 게재됐다.

복대동맥류는 복대동맥이 약화, 확대돼 형성되는 혈액이 충만한 주머니로, 주위 조직을 압박해 동통과 마비를 유발한다. 동맥류는 대부분 파열되지 않으나, 일단 파열되면 생존 가망성은 20% 정도이다.

미국 미니애폴리스 소재 재향군인회의료센터의 프랭크 레덜 박사팀은 직경이 4.0∼5.4cm인 복대동맥류 환자 1,136명(50∼79세)을 감시 또는 즉시 복원술군으로 나눠 평균 4.9년(3.5∼8.0년) 추적했다. 감시군의 동맥류는 6개월 간격으로 초음파나 CT로 평가하고, 증상 발현 또는 5.5cm 확대시까지 수술을 보류했다.

연구 말에 동맥류 복원 수술 환자의 비율은 즉시 복원군(569명)이 92.6%, 감시군(567명)이 61.6%이었고, 양군은 모든 원인 사망률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복원군 상대위험 RR=1.21). 복원군은 수술 사망률이 2.7%로 낮았으나, 동맥류 관련 사망률은 감소하지 않았다(3.0:2.6%). 또 감시군은 동맥류 파열이 11명(0.6%)에 그치고, 동맥류 관련 입원율이 39%나 낮았다. 이에 연구팀은 동맥류 직경이 최소 5.5cm에 이를 때까지 수술 보류를 권장했다.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복대동맥류 환자 1,090명(60∼76세)을 평균 8년간 추적한 영국소동맥류임상(UKSAT)에서도 조기 수술과 감시군은 평균 생존기간에 차이가 없었다(6.7:6.5년). 다만 8년 후 사망률은 조기 수술군이 7.2% 포인트 낮았는데, 이는 수술 자체의 효과라기보다는 주요 수술 경험이 환자들에게 건강한 생활 습관을 가지게 해 사망률 감소로 이어졌을 것이란 추정이다.

한편 영국 연구에서 여성의 동맥류는 파열 위험이 남성보다 4배 높아 5.5cm 역치는 여성에 너무 높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