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부산 등 중심축 채택 못해

16개 시도 중 기존 5곳 포함 9곳 적용
전국 시도의사회 직선 회칙 개정 현황

지난해 의협회장 직선 정관을 계기로 전국 시도의사회로 급속히 확산됐던 시도회장 직선 회칙 개정에 대한 열기가 회원들의 관심부족으로 절대적인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사가 지난 2-3월 정기총회를 개최했던 전국시도의사회를 중심으로 회장직선 회칙개정 여부를 파악한 결과 전체회원의 40% 가량을 점유하고 있는 서울시의사회가 정총 본회의에 상정되지 못한 채 분과심의 과정에서 폐기된 것을 비롯하여 부산시의사회의 유보 결정, 그리고 광주시의사회와 대전시의사회, 충청남북도의사회, 경북도의사회에서 채택되지 못했다.

반면 대구시의사회와 전라남북도의사회. 경남도의사회 4곳은 올해 회장 직선제를 채택하여 지난해 임시총회 등을 통해 회장 직선제를 도입한 인천시의사회, 울산시의사회, 강원도의사회, 경기도의사회, 제주도의사회 등을 포함 총 9개 시도의사회로 늘어났다.

그러나 실제 시도의사회를 실질적으로 리드해 오면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해오고 있는 서울시의사회와 부산시의사회에서 회장 직선제를 채택하지 못해 전체 회원 분포를 감안하면 직선제 선호도가 과반수의 지지를 받지 못한 결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이 결과는 지난해 의협회장 직선제 정관 개정을 압도적으로 지지해온 회원들의 성향을 고려 할 때 지지폭이 상당수 감소 한데 따른 것으로 그중 직접적인 원인은 우선 지난해 정관 개정을 위해 막대한 재원과 시간을 투자해 회장 교체라는 진통을 겪으면서 뽑은 의협 직선 회장에 대한 기대감이 지난 5개월여 기간이 지나면서 크게 반감됐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강하다.

게다가 적지 않은 회원들은 "대의원에 의해 선출된 현 회장이 회원 화합을 도모하면서 회무를 원활하게 수행해 나가고 있는데 굳이 현 시점에서 회칙을 개정해야 하는 필요성을 못 느낀다"는 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와 관련, 회장 직선제를 채택하지 않은 일부 시도의사회서는 집행부 회무 추진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회원 직선에 의한 회장 선출 보다 오히려 회무를 전반적으로 지도 감독하고 있는 대의원을 직선으로 선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이 같은 주장은 지난해 의협회장 직선 정관 개정을 위한 임총 과정에서도 제기되기도 했으며, 이에 대해 상당수 개혁 및 보수 성향의 인사들도 지지의사를 표명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의료계의 일반적인 정서는 현 시점에서 회장 직선제의 장단점을 논하기는 아직 이르다는 지적과 함께 부산시의사회도 의협 정관에 준해 회장직선 회칙 개정에 원칙론을 두고 잇는 점등을 고려 할 때 회장 직선에 대한 회원들의 반응은 기대했던 의협집행부가 오는 4!17 총파업 등을 포함해 대정부 투쟁을 성공적으로 이끄느냐에 따라 풍향이 결정 될 것으로 보여진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