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역기구 가입으로 무역장벽 없어져

현지 공장 및 법인 설립으로 전략거점 지역 구축

국내 화장품시장이 어느정도 성장하고 경쟁력을 갖춤에 따라 해외수출만이 살길이라는 분위기가 높아지고 있다.

또 그동안 성장가도를 달려왔던 국내 시판시장이 성장을 멈추는 등 한계에 다다렀다는 분석이 속속 나옴에 따라 해외수출을 통해 세계적인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국내 업체들의 몸부림이 점차 뜨거워지고 있다.

특히 지리적으로 매우 가깝고 문화의 차이도 크게 없는 중국이 최근 세계무역기구에 가입함에 따라 무역장벽이 없어지고 오로지 기술력만이 시장을 지배할 수 있는 무한경쟁의 시대가 본격화돼 국내 화장품업계가 국내 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중국을 그 돌파구로 정하고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지는 중국시장의 현황 및 득실 그리고 국내 업체들의 진출전략을 7회에 걸쳐 연제한다.

중국 화장품시장 현황 중국은 지난 2000년 기준으로 볼때 GDP규모가 1조억 달러에 이르고 있다.

특히 현재 중국의 인구는 13억명정도로 추산되고 있으며 오는 2050년 경에는 16억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등 거대한 내수시장을 가진 국가이므로 시장성장력이나 잠재력을 가진 국가임에는 틀림없다는 것이다.

이같은 시장규모에 따라 중국의 화장품 시장규모의 경우에도 지난 2000년말 기준으로 350억 달러(한화 5조 3천억)에 이르고 있으며 해마다 두자리 이상의 초 고속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중국 화장품 시장은 외자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70%에 이르고 나머지 30%정도는 국내 생산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세계 각국의 유명한 화장품 회사들이 이미 시장에 진입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국내 화장품사의 수출규모 및 현황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태평양을 비롯해 코리아나,엘지생활건강,한불화장품등 10여개 업체가 중국 시장에 진입해 현지에 직접 공장을 생산기지를 구축하는 가 하면 백화점 등 유통망형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화장품공업협회가 집계한 국내 화장품업체들의 수출 규모의 경우에는 지난 96년 566만달러에 그쳤으나 이어 97년에는 1,295만달러,98년에는 1,296만달러,99년에는 1,212만달러,2000년에는 1,050만달러, 지난해에는 1,400만달로 1,000만달러를 약간 상회하고 크게 증가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 WTO가입에 따른 화장품 업계의 득실 이번 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향후 관세율 인하(현행 35%에서 2004년까지 15%대로 인하)와 비관세 무역장벽 제거(위생허가, 까다로운 수출입 통관 절차 등) 그리고 유통시장 개방이 예정되어 있다.

따라서 중국의 시장 개방은 관세인화를 비롯한 무역장벽이 제거됨과 동시에 유통 시장 개방으로 이어질 것이며 유통 시장 개방은 직접 진출이나 판매 회사 설립을 용이하게 할 것이란 분석이다.

반면 무엇보다 지금보다 훨씬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진다는 것이다. 또한 지금까지 일부 보따리나 밀수 등의 방법으로 중국에 진출했던 많은 중소업체들에게는 더 큰 부담으로 다가올 것이다. 특히, 무역장벽을 제거하는 대신 통관 등의 세입기준을 더욱 철저해질 것이고 위생허가를 갖지 못한 국내 중소 화장품업체에게는 큰 어려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역 수입의 증가이다. 지금보다 화장품 부재료(부자재, 각종 저가 판촉물 등)의 중국 수입은 더욱 증가되어 국내 중소업체에게는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문제점 및 대책 그러나 중국시장은 수입제품에 대한 세율이 높고 (관세 35%, 소비세 17%, 부가가치세 17%) 수입제품의 위생허가기간이 1년 이상으로 너무 길어 신제품 런칭 시기를 잡는 데 어려움이 있는 등 적잖은 걸림돌이 있다는 게 업계의 공통적인 분석이다.

또한 아직도 유통시장이 제한적으로 개방되어 있다는 것과 다국적 기업들이 이미 모두 진출해 어느정도 자리를 잡고 있어 치열한 시장경쟁 상황도 국내 업체들이 뛰어넘어야 할 산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 지금까지 중국은 자국 내에서의 생산품과 수입품 등에 대해 서로 다른 혜택을 부여함으로써 여러 가지 차별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야만 그 격차가 좁혀질 것으로 전망돼 단기간에 격차가 해소 보다는 수 년 정도의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때문에 이 같은 시장상황의 변화에 따라 지금까지 관망자세를 보여오던 세계 글로벌 경쟁업체들이 본격적인 진입을 서두를 것으로 보여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