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ㆍ뷰티산업 대책 제시..해마협 활성화 과제

2007 화장품 결산 ⑤ 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올해 한-EU, 한-중 FTA 협상 화장품 분야 영향분석 및 대응방안 수립, 주요국가 화장품 정책 제도분석, 피부미용 등 뷰티산업 제도개선 방안 연구, 화장품해외마케팅전문가협의회 운영 등 화장품 산업 진흥 관련 연구사업에 집중한 해다.

특히 진흥원 의약화장품산업팀은 지난해 화장품산업팀 보다 조직 및 인원이 축소 운영됐음에도 불구하고 화장품 등 뷰티산업 지원을 위한 정책개발 및 제도개선 관련 연구사업을 추진해 보건복지부에 제출하는 등 업계로 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진흥원은 우선 올해 EU 화장품 관련 제도, TBR(무역장벽규정) 조치 분석, EU측 예상 요구사항 및 문제점 파악, 한-EU FTA 체결이 국내 화장품법ㆍ제도ㆍ정책ㆍ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분석한 후 외교통상부, 보건복지부 등 정부와 대책을 논의하는 등 한-EU FTA 체결에 따른 국내 화장품 산업 피해 방지 대책 마련에 적극 대처해 왔다.

또한 국내외 피부미용 관련 법령 및 관리제도, 피부미용 시설 및 설비 현황, 국내 피부미용기기 사용실태, 피부미용 업무범위 및 피부미용실 시설ㆍ설비기준(안)을 조사분석한 보고서를 보건복지부에 제출하는 등 뷰티산업 발전 관련 연구도 지속했다.

여기에 보건복지부가 금년에 한시적으로 운영한 ‘뷰티산업 전문가협의회’ 운영 지원을 위한 국내외 미용관련 제도현황 파악, 국내 미용산업 현황 분석, 미용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전략 보고서를 통한 미용산업 발전방안도 정부에 제안했다.

국내 화장품 기업 해외진출을 위한 지원 업무도 지난해에 이어 추진했다. 진흥원 의약화장품산업팀은 중국 화장품 위생허가 제도분석, 대 중국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한 애로사항 파악, 중국 화장품 관련 법령 변화 연구 사업을 통해 앞으로 진행될 한-중 자유무역협상에 따른 우리측 공격 아젠다 및 기초자료를 제시했다.

이와함께 분기별로 ‘화장품해외마케팅전문가협의회’를 개최하고 주요 화장품 해외박람회 정보, 기업별 해외진출 사례, 중국의 화장품 관련 제도변화, 세계 화장품 산업 동향, 한-EU, 한-중 FTA 진행사항, FTA가 국내 화장품 산업에 미치는 영향 등 정보를 교류했다.

화장품 피부미용 등 뷰티산업과 관련한 연구사업을 추진하는 유일한 정부 출연기관으로써 이들 산업 체계적 지원을 위한 발전전략 수립에 전념한 셈이다.

그러나 화장품해외마케팅전문가협의회가 분기별로 개최되는 바람에 위원들간 정보교류활성화 효율성이 떨어지는데다 대기업이 자사 해외진출 성공사례 공개를 꺼리는 경우가 많아 중견 화장품사 해외영업 책임자들의 참여가 저조한 점을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현재 진흥원 의약화장품화장품에서 화장품 분야를 독립한 ‘화장품산업팀’을 신설해 화장품 피부미용 등 화장품 산업과 뷰티산업 진흥을 위한 정책개발 연구 등 업무범위를 확대해야 한다는 여론이 많다.

고부가가치 미래 성장산업으로 부상하는 10조원대의 뷰티산업 진흥을 위해 진흥원 화장품 조직 및 인력을 확대해 뷰티산업을 지원해야 한다는 얘기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이 같은 업계 여론을 바탕으로 화장품 피부미용 등 중장기 뷰티산업 발전 방안 연구를 위한 사업 범위를 확대하고 보건복지부가 이를 적극 수용하는 정책으로 화장품 산업이 FTA 등 시장 및 규제환경 변화를 지혜롭게 극복하고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는 업무 지원체계가 마련되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